싱글톤 패턴 생성 방법
1. Eager Initialization
public class SingletonService {
private static final SingletonService instance = new SingletonService();
public static SingletonService getInstance() {
return instance;
}
private SingletonService() {
}
}
가장 간단한 방법이며 static을 통해 해당 클래스를 Class Loader가 로딩할 때 객체를 생성해 줍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객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객체가 무조건 생성되기 때문에 자원 낭비가 될 수 있는 단점이 존재하며, 또한 Exception에 대한 처리를 하지 않습니다.
2. Static Block Initialization
3.lazy initialization
class Singleton {
private static Singleton singleton;
private Singleton() {}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생성해주고 존재하면 기존 객체를 반환
public static Singleton getInstance() {
if (singleton == null) singleton = new Singleton();
return singleton;
}
}
getInstance() 메서드를 호출하여 객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새로운 객체를 하나 생성해 주고, 존재하면 기존 객체를 반환해줍니다.
4. Thread Safe Singleton
5. Bill Pugh Singleton Implementation
무상태 Stateless 설계
싱글톤 패턴이든, 스프링 같은 싱글톤 컨테이너를 사용하든, 객체 인스턴스를 하나만 생성해서 공유하는 싱글톤 방식은 여러 클라이언트가 하나의 같은 객체 인스턴스를 공유하기 때문에 싱글톤 객체는 상태를 유지(stateful)하게 설계하면 안되고 무상태(stateless)로 설계해야 합니다.
- 특정 클라이언트에 의존적인 필드가 있으면 안된다.
- 특정 클라이언트가 값을 변경할 수 있는 필드가 있으면 안된다.
- 가급적 읽기만 가능해야 한다.
- 필드 대신에 자바에서 공유되지 않는, 지역변수, 파라미터, ThreadLocal 등을 사용해야 한다.
- 스프링 빈의 필드에 공유 값을 설정하면 정말 큰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DI시 중복 Bean 오류 해결 방법 (0) | 2023.06.19 |
---|---|
[SPRING] 의존관계 주입 DI (0) | 2023.06.19 |
[SPRING]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 된 Bean 출력하기 (0) | 2023.06.16 |
[SPRING] IoC, DI, 컨테이너 (0) | 2023.06.16 |
[SPRING] 좋은 객체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SOLID) (0) | 2023.06.14 |